1. 만든 학자: 필립 잭슨(Philip Jackson)
2. 정의: 학교에서 가르칠 내용을 의도하여 계획한 것은 아니지만,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학생들이 은연중에 가지게 되는 경험
3. 내용 설명 및 특징
비교기준 |
잠재적 교육과정 |
표면적 교육과정 |
교육 방법 |
학교에서 의도한 바 없으나 학습자 잠재적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 |
학교의 의도적, 계획적, 가치지향적 조직 및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학습내용 |
학습 영역 |
정의적 영역, 인간교육과 직결 |
지적 영역 |
학습 경험 |
학교의 문화와 학교 풍토 |
교과 및 교재 |
학습 기간 |
정기적, 반복적, 항구적인 특성 |
비교적 단기적, 일시적 경향 |
교사의 역할 |
- 교사의 인격적 감화 - 교사는 학생의 동일시 대상 |
교사로부터 지적, 기능적 영향 |
학습 내용 |
가치 지향적인 것과 동시에 무가치적, 반사회적 내용도 학습 |
가치지향적 내용 |
- 학교 교육에서 통용되는 상과 벌, 사회적 관행, 문화적 편견, 차별, 물리적 배치는 잠재적 교육 과정의 근원이 됨
① 군집성: 학교는 많은 학생들이 어울려서 배우는 곳이므로 인간관계를 익히게 됨
② 강요성: 학교는 학생들에게 교칙에 맞춰 생활하기를 요구하며 학생들은 규칙과 제도에 순응하는 것을 익힘
③ 위계성: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교사와 조직의 권위에 적응하는 것을 배우게 됨
④ 평가: 학생 혹은 교사에 의해 내려지는 평가를 통해 경쟁, 시기, 질투 등을 배우고, 긍정적 또는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
4. 학교교육과 관련성 연결
- 잠재적 교육과정은 공식적 교육과정의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교육과정의 실천, 곧 수업과 평가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해야 함
- 학생은 교사의 인격적인 부분과 정의적인 영역에서 감화를 받기 때문에 교사는 인간적인 모범을 보여야 하며 민주적이고 바람직한 학교 풍토를 조성해야 함->인성교육에 활용
-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이 상호 보완적 관계를 이루는 교육과정의 개발
5. 관련 학자
1) 드리븐(R. Dreeben)
① 학교가 사회화와 선발을 통해 사회의 유지에 기여한다고 보는 기능론은 잠재적 교육과정의 순기능에만 초점을 둠(기능론의 입장)
② 학생은 교실 내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은연중에 특정한 사회규범을 배움
③ 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사회규범은 그들의 성인생활을 위한 사회화의 일종임
④ 즉, 학교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기존의 사회․경제 및 문화에 적응할 수 있는 특정의 사고방식을 받아들이도록 함으로써 사회의 유지와 안정에 기여한다고 봄
2) 보올즈와 긴티스(S.Bowles & H.Gintls)
① 학생들은 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에 필요한 특정 가치 규범과 행동 성향을 배움
② 경제재생산 이론의 기본 전제인 ‘대응이론(correspondence theory)’과 밀접히 관련
③ 학교는 자본주의 사회의 유지 및 발전에 필요한 가치관과 인간 특성을 주입시키는 기능을 수행
④ 학교가 수행하는 자본주의 생산 관계의 재생산은 ‘합리성‘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짐
⑤ 학교가 자본주의 생산 관계를 재생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자본가에 의해 의도된, 학교 교육의 숨겨진 기능 때문
3) 일리치(Illich)
① 학교 교육의 구조(schooling structure) 자체가 부정적인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② 학교와 사악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필연적인 관계
6. 출제연도
2019년도 중등 교육학
'컴퓨터교육 > 교육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혁적 지도성(transformational leadership) (0) | 2021.01.04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