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교육/교육학 이론

변혁적 지도성(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브레드 2021. 1. 4.

 

1. 만든 학자

바스(Bass) - 번즈(J.M. Burns)

 

2. 정의: 지도자가 조직을 발전, 혁신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에게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높은 이상이나 목표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

 

3. 내용 설명 및 특징

 1) 핵심 요소

① 이상적인 영향력(카리스마)

- 구성원들에게 비전과 사명감을 제공, 자긍심 고취

- 직원들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음

② 동기부여

- 비전을 제시하고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칭찬과 격려

- 에너지를 고취하고 업무에 매진하도록 함

③ 지적인 자극

- 이해력과 합리성을 높이고 사려 깊은 문제해결을 하도록 촉진

- 과거 관습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업무수행 방식을 강구하도록 지원

- 한 번도 하지 않았던 것 자극-> 발전 유도

④ 개별적인 배려

- 구성원들에게 개별적 관심을 보여주며 지도, 조언

- 개인적 욕구 및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고 잠재력을 개발

 

2)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행위

① 카리스마

② 목적 합의

③ 높은 성과 기대

④ 개인적 배려

⑤ 지적 자극

⑥ 솔선수범

⑦ 수시보상

⑧ 구조화

⑨ 문화형성

 

4. 학교교육과 관련성 연결

 1) 비전 공유

- 새로운 비전을 창출하고 구성원들이 이에 헌신하게 하며 학교장의 역할을 관리자에서 지도자로 확장

2) 교사 교직 수행에 영향

- 교사들에게 학생의 학습지도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고, 교사들이 서로 협력하도록 함으로써 교사의 교직 수행에 영향을 미침 -> 교직 만족, 헌신, 효능감, 노력 등에 영향을 미침

3) 학습 공동체

- 교사들이 학생학습에 초점을 두고 동료들과 협력적인 탐구활동을 통하여, 전문성을 함양하고 학교혁신에 동참할 수 있음

- 변혁적 리더십의 인간존중과 솔선수범은 교사가 지닌 역량과 전문성을 발휘하게 하고, 동료교사 간 협력의 질을 높여서 학습공동체의 수준을 향상

  

5. 관련 학자

1) 하우스(House)

- 이론: 카리스마적 지도성

①    역할모델을 통하여 부하에게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표현하고 바람직한 경쟁을 유도

②    이미지 조성을 통해 업적 달성을 강조하는 부하의 행동을 이용

③    목적 명세화를 통해 초월적인 목표를 제시

④    부하들의 성취에 대한 자신감과 높은 기대를 보여주는 행동

⑤    자신의 행동을 통해 부하의 목적에 영향을 줌

⑥    비전 성취와 관련된 행동을 나타냄

 

2) 스필레인(Spillane)

- 이론: 분산적 지도성

- 정의: 학교 구성원들이 학교 경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공동 목표 달성위해 노력

① 집단적 지도성 강조: 리더십의 영역을 학교장에서 구성원으로 확장

② 조직 네트워크 활용

③ 공식, 비공식적 지도자 모두 포함

④ 학생들의 의사표현 장려

 

3) 만스 & 심스(Mans & Sims)

- 이론: 초우량 지도성(슈퍼 리더십)

  - 정의: 구성원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며 결과를 책임지는 자율적 리더를 만드는 것

  ① 구성원의 자율적 통제와 동기 강조

  ② 구성원 스스로 지도자로서의 능력개발 강조

 

4) 허쉬 & 블랜차드(Hersey & Blanchard)

- 이론: 상황적 지도성

① 구성원의 특성 + 상황 + 행동론의 지도성 유형

② 지도자는 능력과 부하의 욕구를 환경의 요구와 효율적으로 연계

③ 조직, 환경, 부하 등의 특성이 변화하면 지도성은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변화

④ 과업행위와 관계성 행위, 직무 성숙도와 심리적 성숙도에 따라 지도방향 제시

A. 지시형: 구성원들의 동기와 능력이 모두 낮은 경우로, 일방적인 과업설명이 요구되는 상황 에서 높은 과업행위와 낮은 관계성 행위가 적합

B. 지도형: 구성원들의 동기는 높으나 능력이 낮은 경우로, 능력을 높여 주기 위한 높은 과업행위와 고양된 동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높은 관계성 행위가 요구됨

C. 지원형: 구성원들이 높은 능력은 갖고 있되 동기가 낮은 경우, 동기를 높여 줄 수 있는 높은 관계성 행위가 요구되며 일방적 지시인 과업

D. 위임형: 구성원들의 능력과 동기 모두 높은 경우로, 과업과 관계성 행위 모두 줄이고 권한을 대폭 위임하는 것이 바람직

 

6. 출제연도

2019년도 중등 교육학

 

'컴퓨터교육 > 교육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재적 교육과정  (0) 2021.01.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