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교육/대안 교육
혁신 학교의 등장
브레드
2021. 3. 14. 18:09
1. 학교 교육의 성찰
- 기존 학교 : 산업 사회 학교
- 농경 사회의 산업사회화 추구
- 암기식 주입식 교육 유효(단순 기능인 양성)
- 교과서의 절대적 지위
- 서열화, 경쟁 교육(기능 주의 교육관 : 사회화 & 선발기능)
- 획일적인 학교 운영(권위적 교사, 학생 통제)
-한국 교육의 문제
- 학업 흥미도 낮음, 학습투여 시간대비 효율성 최하위
- 연간 자살 학생 수 200명
- 새로운 국제 흐름
- OECD 권고 : 관계를 맺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 사물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능력, 창의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능력, 자율적으로 성찰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
- UNESCO 권고 : 알기 위한 학습, 행동하기 위한 학습, 함께 살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
2. 혁신학교의 등장
- 문제의식 (혁신학교의 출발점)
- 기존 공교육에 대한 반성
- 왜 많은 아이들은 배우려하지 않는가?
- 왜 아이들은 서로 존중하지 못 하고 폭력적인가?
- 왜 아이들은 학교를 외면하는가?
- 행정 위주 학교 운영 탈피
- 학생 중심 학교 운영
- 구성원 자발성 존중
- 민주적 학교 교육
- 교육과정, 수업 혁신
- 혁신학교의 가시적 성과
- 일반학교에 비해 학교 구성원 만족도 높음
- 기초 학력미달 비율 낮음, 학생 주도 협동학습
- 교사의 자기 효능감 높음, 전문적 학습 공동체
- 학교 운영 혁신 : 소통과 배려의 학교 문화 형성, 민주적 의사결정, 교육과정, 수업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