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 모든 국민들에게 어떤 차별도 없이 ‘보편적 복지’를 제공하는 북유럽형 복지의 토대 위에, 유치원부터 대학원 박사학위를 마칠 때까지 ‘완전 무상교육’을 실현한 명실상부한 교육 복지 선진국.
1) 교육개혁을 배우던 나라에서 컨설팅해주는 나라로
- 핀란드 교육의 근본을 새로 세운 9년제 종합학교로의 개혁은 1960년대에 종합학교로의 개혁을 먼저 추진했던 스웨덴으로부터 받은 영향이 큼.
- 2001년, 최초로 PISA연구 결과 발표에서 핀란드 교육 시스템의 뛰어난 성과를 보여줌.
- 오늘날에 이르러 핀란드는 OECD선진국과 전세계 수많은 나라들에게 자신들의 교육 정책들과 그 바탕인 철학과 원칙을 적극 전파함은 물론, 다른나라의 교육개혁을 컨설팅해주는 역할까지 맡고 있음
2) 핀란드 교육개혁 정책 추진과정의 큰 흐름과 특징
● 특징
- 학교제도 개혁, 교사&교육제도의 개혁, 국가 교육과정제도의 개혁, 행정 시스템의 개혁 등이 종합적으로 설계되고 추진됨.
- 교육계, 노동계, 경제계, 정치권, 사회단체 등이 개혁의 큰 방향과 원칙에 합의함으로써 흔들림 없는 정책 추진이 가능했음
● 흐름
1964 |
종합학교로의 개혁을 위한 토론 시작 |
1968 |
국회 - 학교제도 개혁을 위한 입법 완료 |
1970 ~ 1972 |
국가 수준의 핵심 교육과정과 지침 제정 및 정비 |
1972 ~ 1977 |
북부 지역에서부터 종합 학교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추진. 교육행정의 권한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양 |
3)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 신자유주의를 넘어 협력과 배려와 지원으로
*핀란드의 교육개혁은 핀란드가 처한 경제 상황, 사회적 요구 등에서 시작. 하지만 교육개혁의 철학과 원칙, 정책을 추진하는 일련의 과정은 철저하게 교육적인 관점에서 주도 면밀하게 진행됨.
● 특징
ㄱ. 핀란드의 교육성공은 1960년대에 시작하여 40년 넘게 흔들림 없이 추진돼온 중장기적인 노력의 결과.
ㄴ. 교사들을 정책의 설계, 추진 과정에 전반적으로 참여시키고 그들을 개혁의 주체가 되게 함.
ㄷ. 개혁 추진 과정에서 기존 제도를 고수하려는 기득권 세력들과 충분한 토론을 통해 합의를 끌어내고자 노력.
ㄹ. 1980년대 이후 전 세계를 휩쓸었던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 정책을 따르지 않음.
=> 경쟁이 아닌 협력, 효율보다는 교육원칙 중시. 뒤쳐지는 학생들에 대한 배려와 지원에 집중.
ㅁ. 핀란드 교육개혁의 전 과정에서 모든 학생들의 인간적 존엄과 가치를 중시, 약자를 존중하고 배려, 학생 모두를 온전한 인격 자아이자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교육철학을 흔들림 없이 관철.
댓글